2016.01.27 15:03
47. 성심여대 초창기 (1964)
성심여자대학은 처음에 국문과, 영문과, 불문과, 가정과, 사회사업과, 화학과, 음악과 등 7개학과에 학생 60명으로 그 문을 열었다. 학과마다 개설 과목이 다양하여 학생 수 보다 강사의 수가 더 많을 수밖에 없었다. 정말 놀랄 일은 개교식 겸 입학식 때에 초대되어 하객으로 총장 옆에 앉았던 각계의 기라성 같은 원로 학자들이 모두 강사로 초빙되어 이 조그만 시골 학교에 나왔었다는 사실이다. 국문학계의 이숭녕, 전광용, 당시 시성이라 일컬었던 서정주, 영문학계의 송욱, 김진만, 불문학계의 김붕구, 정명환, 사학계의 이병도, 가정학계의 황혜성 등 굴지의 거목들이 매일 새벽 7시에 원효로 4가 성심여고에서 출발하여 서울 시내 몇 군데를 거쳐 10시 넘어서 춘천에 도착하는 Volkswagen 마이크로버스를 타고 오는 것이었다. 나는 이들 대 학자요, 인생의 대 선배들과 자연스럽게 술자리를 같이 하든가, 많은 대화를 나누면서 미지의 세계를 많이많이 체험할 수 있었다.
음악과는 학생 마다 전공 실기에 따라 개인 교수가 배정된다. 따라서 교수의 수가 타 학과에 비해 많기 마련이다. 개교 당시 음악과의 교수진은 전임강사 최병철(작곡, 시창, 청음, 이론, 합창), 강사 김옥자(성악), 강사 노신옥(피아노) 등이었다. 1966년에는 김영철(작곡), 김혜자(피아노) 두교수가 부임했고 그 이듬해에 김대붕(작곡)교수를 영입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50 | 최병철 이야기 55 | 최병철 | 2022.01.23 | 313 |
49 | 최병철 이야기 54 | 최병철 | 2021.12.24 | 304 |
48 | 최병철 이야기 53 | 최병철 | 2021.12.18 | 287 |
47 | 최병철 이야기 52 | 최병철 | 2021.12.18 | 306 |
46 | 최병철 이야기 51 | 최병철 | 2021.12.18 | 292 |
45 | 최병철 이야기 50 | 최병철 | 2021.12.18 | 277 |
44 | 최병철 이야기 49 | 최병철 | 2021.12.18 | 317 |
43 | 최병철 이야기 48 | 최병철 | 2016.01.29 | 1276 |
» | 최병철 이야기 47 | 최병철 | 2016.01.27 | 1621 |
41 | 최병철 이야기 46 | 최병철 | 2016.01.27 | 915 |
40 | 최병철 이야기 45 | 최병철 | 2016.01.23 | 953 |
39 | 최병철 이야기 44 | 최병철 | 2016.01.23 | 836 |
38 | 최병철 이야기 43 | 최병철 | 2016.01.23 | 773 |
37 | 최병철 이야기 42 | 최병철 | 2016.01.23 | 807 |
36 | 최병철 이야기 41 | 최병철 | 2016.01.23 | 929 |
35 | 최병철 이야기 40 | 최병철 | 2015.09.21 | 925 |
34 | 최병철 이야기 39 | 최병철 | 2015.09.21 | 758 |
33 | 최병철 이야기 38 | 최병철 | 2015.09.21 | 879 |
32 | 최병철 이야기 37 | 최병철 | 2015.09.21 | 851 |
31 | 최병철 이야기 36 | 최병철 | 2015.09.21 | 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