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철 이야기 37

2015.09.21 12:19

최병철 조회 수:940

37. 첫날밤

어스름한 달빛이 천지를 뒤덮은 흰 눈에 반사되어 눈앞의 정경이 아름답게 보이기도 했다. 순간 나는 어느 산등성이 위에 홀로 서 있음을 깨달았고 한쪽에 커다란 철책 문이 있는 것을 발견했다. 철책 문 오른쪽 기둥에 한자로 ‘성심여자대학’이라고 새겨진 것을 희미하게나마 읽을 수 있었고 그 안쪽으로는 경비실로 보이는 조그만 건물이 어둠속에 보였다. 나는 30여 분간 소리치며 철책 문을 흔들어댔다. 하지만 철책 문 안 저쪽 허공으로 메아리쳐 가는 소리가 눈에 보일 뿐 밤의 적막한 고요는 나에게 춥고 지치고 무섭게 까지 조여 왔다. 철책 문 안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약 50여 미터 안 왼쪽으로 엄청나게 큰 3층 건물의 옆면이 눈에 들어오는 것이었다. 나는 철책 문을 넘어 그 건물 가까이 가서 또 소리를 질러댔다. 몇 분 후 3층의 한 방에서 전등이 켜지고 창문이 열렸다.

“최 선생님이세요?”

김재순 수녀의 목소리였다.

“예, 수녀님”

“열쇠뭉치를 드릴 테니 저 마진 편 끝 계단을 내려가셔서 열고 들어가 주무세요.”

김재순 수녀는 열쇠뭉치를 창밖으로 던진 후 창을 닫았고 켜졌던 불은 꺼졌다. <당시 엄격한 수녀원 내규에 따라 원장의 허락받은 한계라 한다.> 열쇠뭉치는 쓸어서 쌓아놓은 눈 속에 파묻혀 다시 한 번 나를 애먹였다. 형체를 알 수 없는 눈 덮인 계단, 급경사의 4층 건물 높이만큼이나 저 아래 넓은 운동장 한 구석에 집 한 채가 보였다. 나는 시원찮은 다리로 걸어 내려간다는 것을 포기하고 한 계단씩 앉아서 양손을 뒤쪽으로 짚으면서 내려갔다. 열쇠뭉치에는 모두 비슷비슷하게 생긴 열쇠 20여개가 달려있었지만 열쇠구멍은 단 하나, 차례대로 하나씩 끼어서 돌려보는 수밖에 없었다. 열여덟 번째 열쇠가 문을 열어줬다. 새로 지은 집이었다. 전기도 아직 안 들어와 깜깜했고 눈 덮인 바깥 보다 훨씬 더 어둡고 추웠다. 라이터로 밝히며 방 안을 살펴보니 군대의 야전침대들 위에 군용 담요들이 얹혀 있었다. 그때가 새벽 한시 반이었다. 춥고 고생스러웠지만 그 정도는 문제도 아니라고 자위하면서 춘천에서 나의 첫날밤은 꿀잠을 이루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댓글 0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 최병철 이야기 55 최병철 2022.01.23 386
49 최병철 이야기 54 최병철 2021.12.24 365
48 최병철 이야기 53 최병철 2021.12.18 348
47 최병철 이야기 52 최병철 2021.12.18 370
46 최병철 이야기 51 최병철 2021.12.18 355
45 최병철 이야기 50 최병철 2021.12.18 336
44 최병철 이야기 49 최병철 2021.12.18 379
43 최병철 이야기 48 최병철 2016.01.29 1369
42 최병철 이야기 47 최병철 2016.01.27 1704
41 최병철 이야기 46 최병철 2016.01.27 989
40 최병철 이야기 45 최병철 2016.01.23 1039
39 최병철 이야기 44 최병철 2016.01.23 923
38 최병철 이야기 43 최병철 2016.01.23 859
37 최병철 이야기 42 최병철 2016.01.23 895
36 최병철 이야기 41 최병철 2016.01.23 1013
35 최병철 이야기 40 최병철 2015.09.21 1014
34 최병철 이야기 39 최병철 2015.09.21 841
33 최병철 이야기 38 최병철 2015.09.21 965
» 최병철 이야기 37 최병철 2015.09.21 940
31 최병철 이야기 36 최병철 2015.09.21 985